에이브러햄 해럴드 매슬로(Abraham Harold Maslow)는 사람의 욕구에는 5가지 단계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중 마지막 단계인 자아실현을 중요한 단계로 발표한 이후 자아실현이라는 개념이 퍼트려지게 되었다. 그는 아버지가 권유해서 뉴욕 시립대학에 들어가 법을 공부했지만 관심을 가지지 못하고 다른 대학으로 옮겨서 심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는 위스콘신 대학을 나왔으며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연구원으로 지냈고 위스콘신, 브루클린 등의 대학교에서 교수로 가르쳤다. 그는 대학원에서 다양한 선생과 심리학자들을 만나며 이론을 구축해 나갔다. 영장류를 공부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연구가 해리할로로부터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그리고 에드워드 손다이크로부터 행동주의의 제한점에 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아들러를 통하여 성격 형성과 관련된 연구에 영향을 받았다. 또한 미국으로 이주했을 때는 에릭 프롬, 마가렛 미드 등과 같은 학자들에게 영향을 받았다. 그는 인간성에 관해 공부하며 고안하였다. 그는 은퇴하기 전까지 브랜디스 대학교의 심리학을 맡았다. 또한 그의 연구 중 자아실현 이론을 기업에 적용하려고 하기도 하였다.
욕구 단계설
1. 생리적 욕구: 공기, 음식, 수면, 옷, 집 등 인생 그 자체를 유지하기 위한 욕구
2. 안전 욕구: 신체의 위협과 생리적 욕구로부터 안전해지는 욕구
3. 소속과 사랑의 욕구: 타인과 관계를 만들고 사랑하고 사랑받고 싶은 욕구
4. 존중의 욕구: 내면, 외면적으로 존경, 인정을 받으며 어떠한 지위를 얻기를 바라는 욕구
5. 자아실현 욕구: 자신의 발전을 위하여 잠재력을 끌어내어 자신을 완성하려는 욕구
가장 기본적이고 낮은 단계인 1단계는 생리적 욕구, 2단계는 안전의 욕구, 3단계는 소속과 사랑, 4단계는 존중의 욕구, 5단계는 자아실현의 욕구로 되어 있다. 그는 이러한 욕구들이 나란히 열거된 것이 아니라 여러 층으로 나뉘어져 피라미드 구조를 이루고 있다고 하였다. 그는 기초적인 욕구가 채워진 후 그 위의 욕구를 채우려 한다고 했다. 그러므로 낮은 단계에서부터 높은 단계로 충족시켜 나가는 것이며 낮은 단계의 욕구가 만족하지 않으면 높은 단계의 욕구는 발현되지 않고 이미 만족한 단계의 욕구는 더 이상 행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러나 매슬로가 말하는 사람의 욕구는 중요한 정도에 따라 나뉘어 배열된 것이고 행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인간이 이러한 기초적인 욕구에 따라 행동의 동기가 된다고 보았고 사람의 욕구는 타고난 것으로 보았다.
자아실현
매슬로는 가장 중요한 단계의 욕구로 자아실현을 소개하며 인생의 근본적인 목적은 자아실현으로 이는 사람의 발현되지 않은 능력을 실현하러는 심리적인 욕구로 보았다. 모든 하위 단계가 만족하여야만 이루어질 수 있는 마지막 단계로서 스스로를 계발하고 자신의 자재화된 능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단계라고 보았다. 이외에도 자아실현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던 사람은 칼 융, 칼 로저스 등이 있다. 그러나 자아실현의 개념이 확산한 것은 매슬로에 의해서였다. 자신의 운명을 회피하려는 사람의 경향을 '요나 콤플렉스'의 용어로 제시하고 있다. 매슬로는 동기 위계와 이에 따른 자아실현에 대한 연구에서 이러한 욕구 위계가 반드시 정해진 순서로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또한 매슬로는 자아실현의 단계에 있는 사람은 사회적으로 타인과 더 의미 있게 연결된다고 보았으며 외적인 현실과의 의미 있는 연결성을 자아실현의 필연적인 요소로 보았다. 반면 이기적이고 경쟁의 관점에서의 성공을 중요시할 경우 외부 관계의 제한이 있다고 보았다.
교육적 의의 및 한계
매슬로의 욕구 단계이론은 학생의 욕구와 그에 따른 행동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교사는 이론을 바탕으로 학생에게 적합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등 적절한 교육 전략을 만들 수 있다. 학생의 행동 이면에 원하는 욕구를 들여다보고 이를 충족시킬 만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 동기를 끌어낼 수 있다. 매슬로는 욕구와 학습이 긴밀한 연관이 있다고 설명하였다. 예를 들면 학생은 소속감을 느끼고 친구 관계에 안정을 느껴야 공부에 집중할 수 있다. 즉 소속의 욕구가 충족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생리적 욕구나 안전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다면 이 또한 공부할 여유를 주지 못하고 방해가 된다. 그리고 많은 학생은 존경의 욕구, 인정의 욕구를 얻기 위해 동기부여를 얻고 공부하기도 한다. 자아실현을 위해 진정 학문을 탐구하며 공부하는 학생은 보다 공부를 더 잘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학생의 욕구보다는 사회적 구조와 교육 체제 차원에서 지원해 주어야 하는 면에서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사람들의 욕구가 똑같은 수직적인 순서로 만족하는 것은 아니다. 사람들은 저마다의 상황과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동기부여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한계로 작용한다.
알더퍼의 ERG론(Alderfer's ERG Theory)
이 이론은 인간의 욕구를 3가지의 범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첫 번째로 존재 욕구는 생리적인 욕구와 안전 욕구에 해당한다. 음식, 주거, 의복과 같은 근원적인 생존에 요구되는 요소들을 말한다. 두 번째로 관계욕구는 사회적인 욕구와 소속감의 욕구를 말한다. 타인과의 관계 형성, 소속감, 사회적으로 존중받는 것 등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성장 욕구는 자아실현과 자신의 성장에 연관된 욕구를 말한다. 자기 계발, 창의성 발현, 잠재력 향상 등이 해당한다. 이는 매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과 유사한 점이 많다. 하지만 ERG 이론은 욕구가 병렬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사람이 동시다발적으로 욕구가 만족하지 않으면 상위 단계의 욕구로 넘어갈 수 있다고 한다.
#동기위계이론 #욕구위계이론 #매슬로우 #매슬로우욕구위계이론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키너 행동주의 (1) | 2024.11.26 |
---|---|
콜버그의 6단계 도덕성 발달 단계, 하인츠 딜레마 (1) | 2024.11.24 |
교육학자 앨버트 반두라: 모방학습, 보보 인형 실험 (0) | 2024.11.22 |
유아교육 에릭슨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4) | 2024.11.21 |
구성주의(교육)과 피아제 (3)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