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너 행동주의
본문 바로가기
교육

스키너 행동주의

by ley레이 2024. 11. 26.
반응형

스키너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는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자이자 하버드 심리학과 교수로서 교육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스키너의 상자' 라고 하는 조작적 조건화 상자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행동을 실험 화하여 연구하고 심리학에 적용하였다. 그의 아버지는 법률가였다. 그는 처음에는 작가가 되고 싶었으나 재능을 발견하지 못하고 하버드 대학원에서 심리학을 연구하였다. 그는 미국 국립과학협회로부터 공로상을 받고 미국심리학회로부터 공로상을 받았다.



스키너 상자의 목적

스키너의 상자는 동물의 행동을 탐구하는 데 쓰이는 도구이다. 스키너가 1930~1931년에 고안해 냈으며 조작적 조건형성과 고전적 조건형성을 탐구하는데 적용된다. 스키너 상자는 동물에게 빛이나 소리와 같은 어떠한 자극을 주고 그에 대한 반응으로 특정한 행동을 배우도록 함으로써 조건형성을 탐구할 수 있는 기구이다. 동물이 적합한 행동을 하면 스키너 상자의 도구에서 음식과 같은 보상을 제공한다. 동물이 적합하지 않은 행동을 하면 스키너 상자는 그에 맞는 처벌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초파리와 같은 무척추동물에 대해 조작적 조건형성이 이루어지는지를 탐구하기 위해 심리학자들은 '열 상자'라고 말하는 장치를 활용한다. 열 상자는 스키나 상자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온도 변화를 적용할 수 있는 공간과 그렇지 않은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다. 무척추동물이 온도 변화가 적용되는 공간으로 넘어가면 그 영역에서 열이 나온다. 결론적으로 무척추동물은 온도 변화가 적용되지 않은 곳에 있도록 조건화된다. 초파리는 상자의 온도가 낮아지더라도 차가운 공간에 있으려고 한다. 이러한 도구 덕분에 실험자들은 보상과 벌에 대한 원리를 통해 조건형성과 교육을 탐구할 수 있다. 



스키너 상자의 구성

스키너 상자는 동물을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커다란 상자이다. 상자는 외부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차음성, 내광성 등을 지니기도 한다. 스키너 상자에는 레버 같은 장치가 내재하여 있어서 동작이나 행동을 인지할 수 있다. 동물이 레버를 누르면 컴퓨터나 다른 장치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개폐기를 닫는다. 또한 강화제나 물과 같은 자극이 있다. 스키너 상자는 스위치, 먹이 주는 기계, 그리고 이것에 대한 반응 기록기로 만들어졌지만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과학적 방법에 적절한 장치이다. 스키너 상자는 통상적으로 여러 개의 스위치와 보상 장치 및 빛, 소리, 음악, 그림 등이 나오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어떤 구성에서는 LCD 패널을 쓰기도 한다. 또한 전기충격을 위한 전기 그물이 있기도 하다. 또한 음식이 제공되는 시간을 색깔로 나타내는 조명을 구성하기도 한다. 동물에 대한 실험을 제한하는 나라에서는 승인이 필요할 수 있다. 다양한 온라인 게임이나 구글과 같은 SNS에서 이용자들이 서비스를 분주하게 활용하도록 스키너 상자와 관련한 연구를 적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작 행동과 강화이론

조작 행동은 어떤 생물이 자율적으로 환경에 작용하는 행동을 뜻한다. 조작 행동으로 나타나는 조건을 조작적 조건화라고 하는데 생물이 행하는 조작 행동은 결론에 따라 늘어나기도 하고 줄어들기도 한다. 이를 통하여 어떤 행동을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조작적 조건화이다. 스키너는 생물이 어떤 행동을 한 결과가 본인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면 그러한 행동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때 그 결과로 주어진 것으로 반응의 수를 늘리는 자극을 강화인(Reinforcer)이라고 한다. 그중 일차적 강화인은 행동을 직접적으로 늘릴 수 있는 강화인이다. 예를 들어 굶주린 생물에게 음식이나 물로 충족시켜 주는 것으로 다음 행동을 늘리는 것을 말한다. 이차적 강화인은 행동을 즉각적으로 늘리지는 못한다. 하지만 일차적 강화인과 결합하여 행동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과 같은 것으로 일차적 강화인과 교환하게 함으로써 강화를 시도할 수 있다. 돈은 이차적 강화인이자 일반화된 강화인이다.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는 좋아하는 자극을 줌으로써 강화한다. 선생님이 학생의 발표를 끌어내기 위해 점수를 주거나 간식을 주는 것이 그 예시이다. 이러한 선한 자극을 제공하여 반응의 수를 늘리는 방법이다. 부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는 싫어하는 자극을 없애서 강화하는 방법이다. 수업에 열심히 참여했을 때 숙제를 면제해 주거나 청소 등을 면제해 주는 방법이 그 예시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는 반응을 늘리게 된다. 



정적 처벌과 부적 처벌 및 부작용

반응을 수정하게 하기 위해서 어떠한 행동의 수를 줄일 필요가 있는데 이때 싫어하는 자극을 주거나 좋아하는 자극을 없앰으로써 행동의 수를 줄인다. 싫어하는 자극을 주는 것을 수여성 벌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학생이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교사가 체벌함으로써 그 행동을 못 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좋아하는 자극을 없애는 벌을 박탈성 벌이라고 한다. 그동안 받아오던 강화인을 없애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학생이 수업을 방해하는 경우 타임아웃(Time out)을 적용하여 학생을 교실 밖으로 잠시 나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처벌을 할 때 주의할 점은 유기체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했을 때 처벌을 주지 않을 경우 그 행동이 옳다고 여길 수도 있다는 부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처벌이 적용된 유기체가 부정적인 행동, 회피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 



프리맥 원리

프리맥은 외부적 자극이 아니라 자기 행동도 강화인으로 대체될 수 있다고 하였다. 프리맥에 의하면 종종 하는 행동은 그다지 하지 않는 행동을 늘리기 위한 강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게임을 좋아하는 학생에게 수학 문제를 풀린 후 컴퓨터 게임을 하도록 한다면 컴퓨터 게임은 수학 문제를 풀게 하기 위한 강화인이 될 수 있다. 

반응형